티스토리 뷰



 

부가가치세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과세당국으로부터 가산세를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. 가산세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, 이에 대한 이해는 세금을 성실하게 납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. 가산세는 크게 신고불성실에 의한 가산세, 납부관련 가산세, 신고관련 가산세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부가가치세 가산세에 대해 쉽게 설명하고, 상황별로 어떻게 계산되는지 유형별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.

 

👉가산세 적용배제 및 감면 바로받기 

 

요약 

유형가산세  종류 계산 방법
신고불성실 무신고 가산세 부당 무신고: 납부세액 × 40%
일반 무신고: 납부세액 × 20%
과소신고·초과환급신고 가산세 부당 과소신고: 납부세액 × 40%
일반 과소신고: 납부세액 × 10%
영세율과세표준 신고불성실 가산세 영세율 과세표준 × 0.5%
미등록 가산세 공급가액 × 1%
(간이과세자는 공급대가 × 0.5%)
명의위장 등록 가산세 공급가액 × 1%
(간이과세자는 공급대가 × 0.5%)
납부관련 납부불성실·환급불성실 가산세 미납세액 × 경과일수 × 0.022%
신고관련 세금계산서 발급 및 전송불성실 가산세 지연발급: 공급가액 × 1%
미발급: 공급가액 × 2%
종이세금계산서 발급: 공급가액 × 1%
전자세금계산서 지연전송: 공급가액 × 0.3%
전자세금계산서 미전송: 공급가액 × 0.5%
세금계산서 기재불성실: 공급가액 × 1%
자료상 관련 가산세 가공 발급: 공급가액 × 3%
위장 발급: 공급가액 × 2%
경정에 따른 매입세액공제 불성실 가산세 신용카드 수취 매입세액공제: 공급가액 × 0.5%
매출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 불성실 가산세 미제출·기재내용 누락: 공급가액 × 0.5%
지연제출: 공급가액 × 0.3%
세금계산서 지연수취: 공급가액 × 0.5%
미제출·기재내용 누락·과다기재: 공급가액 × 0.5%
현금매출명세서 등 제출불성실 가산세 미제출 또는 과소기재 수입금액: 수입금액 × 1%

1. 신고불성실에 의한 가산세

신고불성실 가산세는 부가가치세를 성실히 신고하지 않은 경우 부과됩니다.

  • 무신고 가산세
    • 부당 무신고: 납부세액 × 40%
    • 일반 무신고: 납부세액 × 20%
  • 과소신고·초과환급신고 가산세
    • 부당 과소신고: 납부세액 × 40%
    • 일반 과소신고: 납부세액 × 10%
  • 영세율과세표준 신고불성실 가산세
    • 영세율 과세표준 × 0.5%
  • 미등록 가산세
    • 공급가액 × 1% (간이과세자는 공급대가 × 0.5%)
  • 명의위장 등록 가산세
    • 공급가액 × 1% (간이과세자는 공급대가 × 0.5%)

2. 납부관련 가산세

납부관련 가산세는 세금을 제때 납부하지 않거나 환급을 제때 받지 않은 경우 부과됩니다.

  • 납부불성실·환급불성실 가산세
    • 미납세액 × 경과일수 × 0.022%

3. 신고관련 가산세

신고관련 가산세는 세금계산서 발급 및 전송, 매출·매입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 제출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성실에 대해 부과됩니다.

  • 세금계산서 발급 및 전송불성실 가산세
    • 지연발급: 공급가액 × 1%
    • 미발급: 공급가액 × 2%
    • 종이세금계산서 발급: 공급가액 × 1%
    • 전자세금계산서 지연전송: 공급가액 × 0.3%
    • 전자세금계산서 미전송: 공급가액 × 0.5%
    • 세금계산서 기재불성실: 공급가액 × 1%
  • 자료상 관련 가산세
    • 가공 발급: 공급가액 × 3%
    • 위장 발급: 공급가액 × 2%
  • 경정에 따른 매입세액공제 불성실 가산세
    • 신용카드 수취 매입세액공제: 공급가액 × 0.5%
  • 매출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 불성실 가산세
    • 미제출·기재내용 누락: 공급가액 × 0.5%
    • 지연제출: 공급가액 × 0.3%
    • 세금계산서 지연수취: 공급가액 × 0.5%
    • 미제출·기재내용 누락·과다기재: 공급가액 × 0.5%
  • 현금매출명세서 등 제출불성실 가산세
    • 미제출 또는 과소기재 수입금액: 수입금액 × 1%


성실한 세금 신고와 납부는 중요한 의무입니다. 잘못된 신고나 납부는 가산세를 부과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 필요할 때마다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세금 관리를 실천하세요!